세상에 뿌려진 재미를 찾아

새 길을 닦으려면 새 계획을 세워야지요. 나는 어제 일어난 일은 생각 안합니다. 내일 일어날 일을 자문하지도 않아요. 내게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소소한도전/누구나 이해하는 회계원리

회계의 기초

walkaholic now 2025. 1. 16. 21:54
728x90
반응형

회계등식

자산 + 비용 = 부채 + 자본 + 수익

 

복식부기원리

단순한 장부기록의 원칙이라 치부하지 마시라. 

회계의 시작이자 끝이다. 

 

회계등식에서 등호를 중심으로 좌 | 우 에 있는 항목은 회계장부의 기록을 위한 기본 원칙으로

왼쪽은 차변이라 하고, 오른쪽은 대변이라 한다. 

차변 항목에 적힌 자산,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 차변에 적고 감소하는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반대로 우변항목에 적힌 부채, 자본, 수익이 증가하면 대변에 감소하면 차변에 기록한다. 

 

회계장부(재무제표)의 기본은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라 할 수 있다. 

재무상태표자산 | 부채 + 자본 을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한다. 

손익계산서(경영성과)에는 비용 | 수익 을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한다. 

 

재무제표 : 국제회계기준에 따른 기본 재무제표는 아래의 5가지 이다.

1.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B/S

2. (포괄)손익계산서 I/S 

3. 자본변동표

4. 현금흐름표

5.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분개

복식부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모든 거래의 내용을 분석하여 차변과 대변에 계정과목으로 나누어 정리하는 것을 분개라 한다.

분개에서는 대차평균의 원리가 작동한다. 

차변과 대변의 기록 내용이 일치하여 자체검증의 효과를 갖는다. 

 

<상품의 매출의 경우 분개>

현금           1,000     |    매출   2,000

매출채권    1,000     |     

매출원가     500       |    상품    500

 

<감가상각비의 분개>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다. 

직접법은 감가상각비를 해당 자산에서 바로 해당 기간의 감가상각비를 차감하여 표시

간접법은 해당 기간 중 감가상각비를 최초 구매 시 자산가격을 기재하고 감가상각누계액(=자산의 차감항목)을 기록하여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감가상각비의 내역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비품    600     |     감가상각누계액     200

 

<대손상각비의 분개>

대손상각비는 회수불능 채권으로 감가상각누계액 처럼 자산의 차감항목이다.

대손상각비    100   |   대손충당금    100

 

손익계산서의 작성 방법

분개식으로 대차를 구분하여 작성하는 방법도 있지만 보고와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항목별로 작성하여 구분이 쉽도록 작성하기도 한다. 

 

결산

기말에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작성절차

* 회계기간(=보고기간=사업연도) : 분기, 반기, 1년 등으로 정할 수 있다. 

일반적 기업의 경우 1년을 기준으로 하고 회계기간의 시작을 기초, 끝을 기말이라 한다. 

* 시산표 : 결산을 확정하기 전에 분개장으로부터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으로 정확하게 전기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차평균의 원리를 이용해 작성하는 집계표

1. 기말수정분개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

선급비용

미지급비용

미수수익

선수수익

2. 결산분개

 

 

다음편은 회계의 순환과정...

 

회계의 순환과정

회계의 순환과정거래의 개시부터 재무제표의 작성 그리고 장부의 마감 까지 전 과정을 하나로 아우르는 것일반적으로 하나의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거래를 분개하고 장부에 기록하고 재무제표

walking-alive.tistory.com

728x90
반응형

'소소한도전 > 누구나 이해하는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시간가치  (4) 2025.01.19
기업과 회계원칙  (0) 2025.01.17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1) 2025.01.13
재고자산  (1) 2025.01.09
회계 장부의 기록  (2)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