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뿌려진 재미를 찾아

새 길을 닦으려면 새 계획을 세워야지요. 나는 어제 일어난 일은 생각 안합니다. 내일 일어날 일을 자문하지도 않아요. 내게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반응형

On the island/강화도 5

춥지도 덥지도 않을 때 즐기는 강화 원도심 가볼만한 곳 투어

강화 원도심은 강화성공회 성당, 용흥궁 등 강화산성 4대문 안쪽에 도심을 이루는 강화읍내를 일컫는다 할 수 있겠습니다. 꽃놀이도 한창이고 봄바람도 아주 살짝 살랑거리는 오늘은 강화 원도심 투어를 해보려고 합니다. 강화 원도심은 고려시대 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역사적 유산은 물론 일제강점기 이후 국내 방직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았던 근대 산업시설이 잘 어우러진 역사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강화 풍물시장의 지역먹거리는 물론 현대적 맛집들이 혼재하고 강화산성 4대문을 이어주는 도심과 자연의 걷기좋은 길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고즈넉하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한 다양한 매력의 자연도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강화를 여행한다면 강화터미널에 도착 후 강화의 여러 여행지를 군내 버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고려산 진달래 구경 후 들러보는 강화 고인돌 공원

계획대로 되는건 흔한 일이 아닙니다. 분홍빛 꽃길만 걷자 : 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꽃구경 4월은 전국이 완연한 봄기운과 더불어 꽃구경으로 들썩입니다. 하얀 벚꽃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갈 무렵 벚꽃보다 흔하지 않고 산에 오르지 않으면 만날 수 없는 진달래가 진분홍 빛으로 융단을 walking-alive.tistory.com 고려산 정상까지 한걸음 걸어 흐드러진 진달래를 원없이 구경하고 내려와 강화역사박물관과 자연사박물관을 둘러 볼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 날벼락. 가는날은 장날, 오는날이 휴무네요.. 그냥 돌아가긴 아쉬움이 남아 주변을 돌아보니 올라갈 때 관심없었던 넓은 공원과 공원 한가운데 우뚝 솟은 탁자식 고인돌이 보입니다. 강화역사박물관 바로 옆에 있더군요. 강화 부근리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

분홍빛 꽃길만 걷자 : 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꽃구경

4월은 전국이 완연한 봄기운과 더불어 꽃구경으로 들썩입니다. 하얀 벚꽃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갈 무렵 벚꽃보다 흔하지 않고 산에 오르지 않으면 만날 수 없는 진달래가 진분홍 빛으로 융단을 펼치기 시작합니다. 올해 고려산 진달래 축제는 2024.4.6.(토) ~ 4.14.(일) 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산 정상에 넓게 드리운 진달래 군락으로 유명한 강화도 고려산 트레킹을 해봅니다. 고인돌공원이 있는 강화역사박물관을 출발해서 성실하게 안내하고 있는 표지판을 따라 백련사를 거쳐 고려산 정상일대의 진달래 군락지 까지의 여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축제기간이 아닌 평소에는 다섯군데에서 출발하는 모든 등산로 입구에 주정차를 할 수 있는데 축제기간 중에는 교통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1코스, 2코스 두군데에서만 주차..

강화 갑곶돈 - 유료입장 변경 전 방문

김포를 지나 강화도로 가려면 강화대교 또는 초지대교를 건너가야 한다. 강화대교를 건너 바로 왼쪽으로 가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외적의 침입을 막기위해 만들어진 '갑곶돈' 을 만날 수 있다. 지나다 우연히 들렀는데 2024년 4월 1일 부터 유료로 바뀐다고 하여 굳이 들어가 보았다. 공짜는 좋으니까.. 관람시간 09:00 ~ 18:00 (17:00 입장마감) 휴관일 연중무휴(전쟁박물관은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무) 주차료 무료(주차장내에서 발생하는 차량 훼손 및 도난은 본인 책임) 2024년 4월 1일 부터는 입장료를 받는다고 한다. 어른 1,200원 / 어린이,청소년,군인 900원 갑곶돈은 통진(通津)에서 강화로 들어가는 갑곶나루에 설치하였는데, 돈대 주위가 113보(步)였고 성벽..

강화도 전등사 : 2024년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초지대교를 건너 직진으로 쭉 가면 찾을 수 있으니 가는 길이 복잡하지는 않다. 자차로 갈 때 당연히 네비님의 안내를 받으시면 된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가면 1. 신촌 ~ 전등사 신촌 오거리.현대백화점(중앙) M6117 탑승 /구래역 하차 70번 환승 / 전등사 하차 2. 홍대입구역 ~ 전등사 홍대입구역(중앙) M6117 탑승 / 구래역 하차, 70번 환승 / 전등사 하차 3. 검단 ~ 전등사 검단 사거리에서 70번 탑승 / 전등사 동문 하차 4. 김포공항 ~ 전등사 김포공항 국제선 60-5번 승차 / 전등사 동문 하차 전등사는 대단하게도 무려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에 진종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절이다. 이후 1282년(고려 충렬왕 8)에 전등사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거대한 절은 아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