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뿌려진 재미를 찾아

새 길을 닦으려면 새 계획을 세워야지요. 나는 어제 일어난 일은 생각 안합니다. 내일 일어날 일을 자문하지도 않아요. 내게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어쩌다보니

계산기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 쓰는 방법

walkaholic now 2025. 1. 25. 01:42
728x90
반응형

2024년 손해평가사 도전할 때 샀던 공학용 계산기 입니다.

자격증 시험 같은거 볼 때 계산기 사용하는 시험들이 있습니다. 

쓸데없이 돈 날리지 않으려면 본인의 시험에 적합한 계산기를 정확하게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떤 계산기가 적합한지 몰라서 유튜브를 좀 찾아보니 손해평가사 시험을 위해서는

위에 있는 카시오 공학용계산기가 필요하다는 썰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그냥 샀습니다. 

쿠팡에서 쿠폰받아 사니 엄청 비싸지는 않았습니다. 

만원정도 했던거 같습니다. 

최종결과는 2차 불합격이었습니다만...

계산기랑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계산기와 관련해서 답만 말씀드리자면 손해평가사 시험에서 반드시 위에 보는 공학용계산기가 필요한건 아닙니다. 

글씨크고 자판크고 터치감 부드러운 그냥 아래 보시는 계산기 사도 됩니다. 

사용법만 잘 안다면 손해평가사 시험에 필요한 모든 계산을 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이미 가지고 있다면 그냥 쓰시면 됩니다. 

떨어지고 나서 알았다는게 억울하지만 괜찮습니다. 

안그래도 어려운 경제에 쪼~끔 보탬이 되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올해는 세무사 시험에도 도전을 해볼까 해서 위의 계산기를 또 샀습니다. 

허용되는 계산기의 기종이 정해져 있는 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세무사 시험에서 공학용계산기가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역시 쿠팡을 통해 할인쿠폰을 적용받아 만원대에 샀습니다. 

 

세무 회계 쪽에서는 위에 보는 계산기가 진리라 하더군요.

시험에 붙는거랑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어보입니다. 

세무사 시험에서 계산문제 많이 나온답니다. 

계산기 사용도 잘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계산기 잘쓰는 방법을 딱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괄호 수식이 있는 연속된 수식을 계산하는 메모리 기능 

MC    MR    M-    M+

메모리클리어, 메모리리콜, 메모리마이너스, 메모리플러스

수식 입력에 앞서 항상 먼저 MC 를 누른다.

예를들어 아래를 계산기로 계산 해보자.

(100+200)X3 + (100+400)X2 =

메모리기능을 사용해서 계산할 때는 항상 MC 버튼을 먼저 누르고 시작한다.

MC → 100 + 200 X 3 → M+ → 100 + 400 X 2 → M+MR

 = 1,900 딱 나옵니다.

 

이제 M- 버튼이 궁금해집니다. 

괄호의 계산식을 음수로 저장하고(바꾸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100+200)X3  -  (100+400)X2 =

MC → 100 + 200 X 3  M+ → 100 + 400 X 2  M-  MR

= -100 나옵니다.


2. 계산한 여러개의 답을 더해주는 Grand Total 또는 Gross Total 

GT

예를들면,

(100 + 200) X 2 + (30 + 50) X 5 =

MC → 100 + 200 X 2 = 30 + 50 X 5 =GT

= 1,000 뙇!!

등호로 각 계산을 완료할 때 마다 답이 나오는데 여러 수식을 등호로 각각 계산한 후 GT를 누르면

계산한 모든 값을 더해서 최종 합산을 보여준다.


3. +/- 키를 활용하여 음수로 만들기

+/-

 - 100 X 2 + (30 + 50) X 5 =

맨앞에 마이너스 부호는 계산기에서 어떻게 표현하는가?

그때 사용하는게 +/- 버튼입니다.

일단 100을 누르고 +/- 를 누르면 100 앞에 - 부호가 딱 생깁니다. 

그리고 나머지를 계산하면 됩니다.

100   +/-  X   2   M+   30   +   50    X   5   M+   MR

= 200

 


4. 연산부호를 두번 눌러 숫자를 보관해 두고 계산하기

연산부호 더블터치 하면 K 가 불쑥..

숫자 누르고 연산부호( +  -  ×  ÷ )를 두번 누르면 액정 상단에 K가 쑥 튀어나온다.

이게 뭐냐하면 내가 누른 숫자를 Keep해 두고 싶으니 계산기 네가 잘 보관해둬라.

그런 의미랍니다. 

100 + + 5 = → = → =

이건 100을 딱 보관해라 5를 눌러 = 을 눌러 일단 더한다. 

그럼 105가 나오고, 

또 = 을 누르면 205가 되고,

또 = 을 누르면 305가 된다. 


5. 나눗셈 부호를 두번 눌러 분모로 보내 분수식으로 만들어 계산하기

 ÷    ÷ 

keep 해서 분모로 보내라.

1000 ÷ (300 X 2 + 400) =

이 식을 순차적으로 계산기에서 계산하면 엉망이 된다.

제대로 계산하려면 아래와 같이 괄호를 먼저 계산한 후 나눗셈 부호 두번을 터치하면 분모로 간다.

300 X 2 + 400  ÷   ÷  1000 =

1

 

이제 분모가 제곱수로 이루어진 수식을 계산해 보자.

1000  ÷ 1.1ª  =   ( a= 3 이라 하자)

1.1 ÷ ÷ 1000 =  =  =

이렇게 계산기에 입력하면

751.3148

 

(1000 ÷ 1.1) + (1000 ÷ 1.1ª) + (1000 ÷ 1.1ª) =

계산기에 입력하는 방법은

1.1 ÷ ÷ 1000 =  =  =  GT

이렇게 계산합니다.

 

(100 ÷ 1.1) + (100 ÷ 1.1ª) + (1100 ÷ 1.1ª) =

메모리버튼을 이용해서 계산합니다.

MC  1.1 ÷ ÷ 100 = = GT +(버튼을 눌러 K를 제거) M+ 1.1 ÷ ÷ 1100 = = = +(버튼을 눌러 K를 제거) M+

MR (메모리리콜) 최종답

 


 

6.  AC 그리고 C 버튼

AC     C 

올클리어, 클리어(캔슬)

AC는 다 지우고, C는 바로 앞 입력값 취소 같은 느낌이다.

 


이상의 방식으로 쌀집계산기로도 모든 사칙연산은 계산할 수 있답니다. 

 

당신의 모든 노력이 훌륭한 결실을 맺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