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뿌려진 재미를 찾아

새 길을 닦으려면 새 계획을 세워야지요. 나는 어제 일어난 일은 생각 안합니다. 내일 일어날 일을 자문하지도 않아요. 내게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주간식당/이세계 음식점을 찾아서

사이제리아 초저가 패밀리레스토랑

walkaholic now 2025. 5. 2. 22:19
728x90
반응형

일본에서 초저가 전략을 확실하게 적용하여 성공적인 프랜차이즈로 운영중인 사이제리아 (サイゼリヤ) 이세계 식당 여행을 떠나보겠습니다. 

 

혼자 가도 만원, 혼술까지 2만원.

4인가족 4만원 외식 프로젝트 

패밀리 레스토랑 가자!!

 

극단적인 초저가 전략을 최대한 구현해서 성공적인 식당으로 자리잡은 음식점입니다. 

음식점이라는 비즈니스에 소비자에 대해 가격우위전략을 집중적으로 적용하여 이때 필요한 전략적 실행 요소들을 매우 잘 구현하여 성공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가격 우위 전략은 기업이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핵심은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낮은 가격에도 수익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가격 우위 전략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적용 방식과 고려 사항을 설명해 드릴게요.

 

주요 적용 방식:

  1. 최저가 전략 (Everyday Low Price, EDLP):
    • 일상적으로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을 유지하는 전략입니다.
    • 잦은 할인이나 프로모션 없이 꾸준히 낮은 가격을 제공하여 가격에 민감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가격 비교에 대한 부담을 줄여줍니다.
    • 예시: 대형 할인마트, 일부 온라인 쇼핑몰
  2. 침투 가격 전략 (Penetration Pricing):
    • 신규 시장 진입 시 경쟁사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입니다.
    • 초기에는 수익성이 낮을 수 있지만,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 후 점진적으로 가격을 인상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새로운 스트리밍 서비스의 초기 저가 프로모션, 신규 게임 플랫폼의 저렴한 구독료
  3. 약탈적 가격 전략 (Predatory Pricing):
    • 경쟁사를 시장에서 몰아내기 위해 일시적으로 생산 비용 이하의 매우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불법적인 전략입니다.
    • 장기적으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여 가격을 인상하려는 의도를 가집니다.
    • 주의: 불공정 경쟁 행위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4. 가치 가격 전략 (Value Pricing):
    • 경쟁사와 유사한 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훨씬 낮은 가격으로 제공하여 '가격 대비 가치'를 강조하는 전략입니다.
    • 가격에 민감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는 고객층을 공략합니다.
    • 예시: 저가 항공사, PB(Private Brand) 상품
  5. 할인 가격 전략 (Discount Pricing):
    • 특정 조건(대량 구매, 회원 할인, 기간 한정 등)을 충족하는 고객에게 할인된 가격을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 재고 소진, 특정 고객층 유인, 판매 촉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가격 우위 전략 실행 시 고려 사항:

  • 원가 경쟁력 확보: 가격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쟁사보다 낮은 원가 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 규모의 경제 달성, 유통 채널 최적화, 저렴한 원자재 확보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수익성 확보: 단순히 가격만 낮추는 것이 아니라, 낮은 가격에도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판매량과 마진 구조를 설계해야 합니다.
  • 브랜드 이미지 관리: 지나치게 낮은 가격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이 낮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가격뿐만 아니라 가치를 함께 전달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쟁사 반응 예측: 경쟁사의 가격 인하, 차별화 전략 등 예상되는 반응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지속 가능성 확보: 단기적인 가격 인하 전략보다는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가격 우위 전략을 구축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가격 우위 전략은 단순히 '싸게 파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비용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에 매력적인 가치를 제공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성공적인 가격 우위 전략은 기업에게 높은 시장 점유율과 고객 충성도를 가져다줄 수 있지만, 철저한 준비와 실행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사이제리아(サイゼリヤ)란?

사이제리아는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이탈리아풍 요리를 즐길 수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패밀리 레스토랑 체인입니다. 1970년대 초창기부터 영업을 시작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전국에 1,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외에도 중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호주 등지에 진출해 있습니다.

  • 저렴한 가격: 사이제리아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우 저렴한 가격입니다. 파스타, 도리아, 피자, 샐러드, 스테이크 등 다양한 메뉴를 300엔부터 500엔 정도의 가격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모든 메뉴를 다 합쳐도 2만 엔이 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 다양한 메뉴: 이탈리아 요리를 중심으로 샐러드, 수프, 디저트 등 폭넓은 메뉴를 제공합니다. 어린이 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가족 외식에도 적합합니다.
  • 편안한 분위기: 혼자서 식사하는 손님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캐주얼한 분위기입니다.
  • 드링크 바: 메인 메뉴를 주문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탄산음료, 주스, 커피, 차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드링크 바가 인기입니다.
  • 가성비 와인: 저렴하면서도 맛있는 하우스 와인을 잔이나 병으로 판매하여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 밀라노풍 도리아(ミラノ風ドリア): 사이제리아의 간판 메뉴로 꼽히는 인기 메뉴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푸짐한 양으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300엔입니다.
  • 매운 치킨(辛味チキン): 사이제리아의 인기 사이드 메뉴 중 하나입니다.
  • 에스카르고 오븐 구이(エスカルゴのオーブン焼き): 특이하게 달팽이 요리도 저렴한 가격에 즐길 수 있습니다. 남은 소스에 빵을 찍어 먹는 것도 인기입니다.
  • 햄버그 스테이크(ハンバーグステーキ): 다양한 종류의 햄버그 스테이크를 저렴하게 맛볼 수 있습니다. 특히 채소 페이스트가 올라간 디아볼라풍 햄버그가 인기입니다.
  • 작은 새우 샐러드(小エビのサラダ): 신선한 채소와 작은 새우가 어우러진 샐러드입니다.

가격대:

대부분의 메뉴가 500엔 이하이며, 비교적 가격이 높은 메뉴도 1,000엔 정도입니다. 음료 무한 리필 드링크 바는 메인 메뉴 주문 시 약 200엔 정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역사:

사이제리아는 1968년 쇼가키 야스히코(正垣泰彦)가 개인 레스토랑으로 시작하여 1973년에 법인화되었습니다.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프랜차이즈 사업을 확장하여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사이제리아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며 성공을 거둔 요인은 다양합니다. 

하나만 콕 찍어 설명할 수 없지만 저는 초저가 전략이 완벽하게 성공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가격만 싼게 아니라 전반적인 매장의 분위기를 현재 한국에서 운영중인 패밀리레스토랑에 견주어 가성비를 추구한 인테리어도 성공적인 요소였다고 봅니다. 

 

1.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

  • 철저한 비용 절감 노력: 식재료 구매부터 조리, 서빙, 매장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철저하게 비용을 절감을 추구합니다. 대량 구매,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 간소화된 조리 과정 등이 가격을 낮추는 데 기여했을 거예요.
  • '싸고 맛있다'는 인식: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음식의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다'는 인식을 심어주었습니다. 이는 재방문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2. 폭넓은 고객층 확보:

  • 다양한 메뉴 구성: 파스타, 피자, 도리아, 스테이크, 샐러드, 디저트 등 다양한 이탈리아풍 메뉴를 제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가족 친화적인 분위기: 편안하고 캐주얼한 분위기로 가족 단위 손님들이 부담 없이 방문하기 좋습니다. 어린이 메뉴와 드링크 바는 가족 고객에게 특히 매력적입니다.
  • 혼밥족을 위한 환경: 혼자서 식사하는 손님도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했습니다.

3. 꾸준한 메뉴 개발과 개선:

  • 지속적인 신메뉴 출시: 트렌드를 반영하고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꾸준히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고 출시합니다.
  • 기존 메뉴의 품질 향상: 오랫동안 사랑받는 기존 메뉴의 맛과 품질을 꾸준히 개선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밀라노풍 도리아처럼 오랫동안 사랑받는 스테디셀러 메뉴의 존재는 큰 강점입니다.

4.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 입소문 마케팅: 저렴한 가격과 만족스러운 품질 덕분에 자연스럽게 입소문이 퍼져나갔습니다.
  • SNS 활용: 최근에는 SNS를 통해 신메뉴나 이벤트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젊은 층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5. 효율적인 프랜차이즈 운영:

  • 표준화된 시스템: 어느 매장을 방문하든 동일한 맛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운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고객에게 신뢰감을 줍니다.
  • 점주와의 상생: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주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어왔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이제리아는 '저렴한 가격에 맛있는 음식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곳'이라는 명확한 콘셉트를 바탕으로 철저한 비용 관리, 다양한 고객층 확보, 꾸준한 메뉴 개발, 효과적인 마케팅, 그리고 효율적인 프랜차이즈 운영 시스템이 성공의 핵심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가격 경쟁력은 다른 외식 프랜차이즈와 차별화되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점포수 변동 추이:

  • 최근 동향 (2023년 9월 ~ 2024년 8월 1분기): 2024년 1분기 기준으로 사이제리아의 총 점포수는 1,272개로, 전년 동기 대비 83개 순증했습니다.
  • 2023년 8월 기준: 2023년 8월 결산 기준으로는 총 1,540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7개 감소한 수치입니다.
    • 국내: 일본 국내 점포는 14개 감소했습니다.
    • 해외: 해외 점포는 7개 증가했습니다. 해외 점포 수는 총 483개로, 전체 점포 수의 약 31.3%를 차지합니다.
  • 2022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연결 기준으로 9개 순증했습니다 (국내 3개 감소, 해외 12개 증가).
  • 2023년 3분기 누적: 2023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연결 기준으로 6개 순감했습니다 (국내 11개 감소, 해외 5개 증가).

전반적으로 최근 분기 보고를 보면,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점포수를 늘려가는 추세이며, 일본 국내에서는 점포 효율화 등의 이유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매출액 변동 추이:

  • 최근 동향 (2023년 9월 ~ 2024년 2월 누적): 2024년 8월기 2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1,046억 3,400만 엔으로, 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고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 해외 사업의 성장: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사업의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국내 사업의 성장: 국내 사업 역시 가격 인상 없이 집객력을 유지하며 기존점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1.9% 증가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사이제리아는 해외 사업의 호조와 국내 사업의 꾸준한 성장에 힘입어 매출액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사이제리아는 최근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점포수를 확대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국내외 사업 모두 성장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특히 해외 사업의 성장세가 주목할 만합니다.

더 자세한 연도별 변동 추이를 확인하시려면, 사이제리아의 공식 IR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최신 정보들을 종합해 보면, 사이제리아의 일본 국내 점포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분기별로 약간의 변동은 있습니다.

 

최근 동향:

  • 2024년 8월 기준: 2024년 8월 결산 기준으로 일본 국내 점포수는 1,038개입니다.
  • 2024년 1월 기준: 2024년 1월 시점의 체인별 점포수 랭킹에서 사이제리아는 1,049개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한 수치입니다.
  • 2023년 8월 기준: 2023년 8월 결산 기준으로는 일본 국내 점포수가 14개 감소했습니다.
  • 2022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일본 국내 점포수가 3개 감소했습니다.
  • 2023년 3분기 누적: 2023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일본 국내 점포수가 11개 감소했습니다.

과거 추이:

  • 2014년 8월까지는 출점 페이스가 가속화되어 일본 국내 점포수가 1,000개를 넘어섰습니다.
  • 2015년 이후로는 출점 페이스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사이제리아는 일본 국내 시장에서는 점포 효율화 전략 등을 통해 점포수를 다소 줄여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해외 시장,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점포수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연도별 추이는 사이제리아의 공식 IR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포터의 5 Forces 모델은 마이클 포터가 제시한 산업 구조 분석 도구입니다. 특정 산업의 경쟁 환경을 분석하고, 그 산업의 수익성을 결정하는 5가지 경쟁 요인을 파악하여 기업의 전략 수립에 활용됩니다. 이 모델을 통해 기업은 산업의 매력도를 평가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포터의 5가지 경쟁 요인:

  1. 기존 기업 간의 경쟁 (Rivalry among Existing Competitors):
    • 산업 내에서 경쟁하고 있는 기존 기업들 간의 경쟁 강도를 의미합니다.
    • 경쟁 강도는 경쟁 기업의 수, 규모, 유사성, 제품 차별화 정도, 산업 성장률, 고정 비용 비중, 철수 장벽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 경쟁이 치열할수록 가격 경쟁, 광고 경쟁 등이 심화되어 산업의 수익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Threat of New Entrants):
    • 새로운 기업이 해당 산업에 진입할 가능성과 그로 인한 위협 정도를 의미합니다.
    • 진입 장벽이 높을수록 신규 기업의 진입이 어려워 기존 기업들은 경쟁 압력을 덜 받게 됩니다.
    • 진입 장벽의 요인으로는 규모의 경제, 제품 차별화, 자본 소요량, 유통 채널 접근의 어려움, 정부 정책, 기존 기업의 보복 등이 있습니다.
  3. 공급자의 교섭력 (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 원자재, 부품, 노동력 등 생산 요소 공급자들이 기업에 대해 행사할 수 있는 교섭력을 의미합니다.
    • 공급자의 교섭력이 강할수록 공급자는 높은 가격을 요구하거나 품질 저하, 공급량 축소 등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공급자의 교섭력은 공급자의 집중도, 공급 제품의 차별성, 구매자의 전환 비용, 공급자의 전방 통합 가능성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4. 구매자의 교섭력 (Bargaining Power of Buyers):
    •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들이 기업에 대해 행사할 수 있는 교섭력을 의미합니다.
    • 구매자의 교섭력이 강할수록 구매자는 가격 인하, 품질 향상, 추가 서비스 등을 요구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 구매자의 교섭력은 구매자의 집중도, 구매량, 제품의 표준화 정도, 구매자의 전환 비용, 구매자의 후방 통합 가능성, 제품 가격이 구매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5. 대체재의 위협 (Threat of Substitute Products or Services):
    • 현재 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른 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존재 여부 및 매력도를 의미합니다.
    • 매력적인 대체재가 많을수록 고객은 쉽게 이동할 수 있어 해당 산업의 가격 결정력과 수익성은 낮아집니다.
    • 대체재의 위협은 대체재의 가격 대비 성능, 구매자의 전환 비용, 대체재 생산자의 수익성 및 공격적인 마케팅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포터의 5 Forces 모델 활용:

기업은 이 5가지 경쟁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산업 매력도 평가: 각 요인의 강도를 파악하여 해당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성을 예측하고 진입 여부를 결정합니다.
  • 경쟁 우위 확보 전략 수립: 각 경쟁 요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합니다.
  • 강점 및 약점 파악: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5가지 경쟁 요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경쟁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입니다.

포터의 5 Forces 모델은 산업 구조 분석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며, 기업의 전략 수립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