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뿌려진 재미를 찾아

새 길을 닦으려면 새 계획을 세워야지요. 나는 어제 일어난 일은 생각 안합니다. 내일 일어날 일을 자문하지도 않아요. 내게 중요한 것은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세무사/재무회계

소매재고조사법(매출가격환원법)

walkaholic now 2025. 2. 28. 14:36
728x90
반응형

소매재고법은 소매 가격을 기준으로 재고 자산의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대형 할인점이나 백화점처럼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소매업체에서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소매재고법의 기본 개념
소매재고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재고 자산의 원가를 추정합니다.
 * 판매 가능 상품의 원가와 소매 가격 합계 계산: 기초 재고와 당기 매입액을 기준으로 판매 가능한 상품의 원가와 소매 가격의 합계를 계산합니다.
 * 원가율 계산: 판매 가능 상품의 원가 합계를 소매 가격 합계로 나누어 원가율을 계산합니다.
 * 기말 재고의 소매 가격 계산: 매출액을 판매 가능 상품의 소매 가격 합계에서 차감하여 기말 재고의 소매 가격을 계산합니다.
 * 기말 재고의 원가 계산: 기말 재고의 소매 가격에 원가율을 곱하여 기말 재고의 원가를 계산합니다.


소매재고법의 장점
 * 재고 관리 효율성: 다양한 상품의 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재고 평가 용이성: 재고 실사 없이도 재고 자산의 원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손실 파악 용이성: 도난, 파손 등으로 인한 재고 손실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소매재고법의 단점
 * 정확성 제약: 실제 원가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품별 원가 파악 어려움: 개별 상품의 원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소매재고법의 회계 처리 방법
소매재고법을 사용할 때 회계 처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 기초 재고 및 당기 매입액: 기초 재고와 당기 매입액을 원가와 소매 가격으로 기록합니다.
 * 매출액: 매출액을 소매 가격으로 기록합니다.
 * 기말 재고: 위에서 설명한 단계를 거쳐 기말 재고의 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재고 자산으로 기록합니다.

 

소매재고법의 실제 사례
 * 대형 할인마트: 대형 할인마트는 수많은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므로, 소매재고법을 사용하여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 의류 매장: 의류 매장은 유행에 따라 상품이 자주 바뀌므로, 소매재고법을 사용하여 재고 평가를 간편하게 처리합니다.

 

예시
한 의류 매장의 월초 재고는 원가 1,000만 원, 소매 가격 2,000만 원이고, 당월 매입액은 원가 5,000만 원, 소매 가격 1억 원이며, 당월 매출액은 8,0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판매 가능 상품의 원가와 소매 가격 합계: 원가 합계는 6,000만 원(1,000만 원 + 5,000만 원)이고, 소매 가격 합계는 1억 2,000만 원(2,000만 원 + 1억 원)입니다.
 * 원가율 계산: 원가율은 50%(6,000만 원 / 1억 2,000만 원)입니다.
 * 기말 재고의 소매 가격 계산: 기말 재고의 소매 가격은 4,000만 원(1억 2,000만 원 - 8,000만 원)입니다.
 * 기말 재고의 원가 계산: 기말 재고의 원가는 2,000만 원(4,000만 원 x 50%)입니다.
따라서 이 의류 매장의 기말 재고는 2,000만 원으로 평가됩니다.

 

위 문제를 구글인공지능에 물었다.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세무의 매출총이익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1. 판매가능재고 계산

  • 원가:
    • 기초재고: 80,000원
    • 총매입액: 806,000원
    • 매입할인: -50,000원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80,000 + 806,000 - 50,000 = 836,000원
  • 판매가:
    • 기초재고: 100,000원
    • 총매입액: 1,000,000원
    • 순인상액: 95,000원
    • 순인하액: -50,000원
    • 정상파손: -50,000원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100,000 + 1,000,000 + 95,000 - 50,000 - 50,000 = 1,095,000원

2. 원가율 계산

  • 원가율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 원가율 = 836,000원 / 1,095,000원 = 약 0.7635 (76.35%)

3. 기말재고 판매가 계산

  • 총매출액: 1,050,000원
  • 매출환입: -24,000원
  • 기말재고 판매가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 (총매출액 - 매출환입)
  • 기말재고 판매가 = 1,095,000원 - (1,050,000원 - 24,000원) = 69,000원

4. 기말재고 원가 계산

  • 기말재고 원가 = 기말재고 판매가 × 원가율
  • 기말재고 원가 = 69,000원 × 0.7635 = 약 52,681.5원

5. 매출원가 계산

  •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 기말재고 원가 + 정상파손
  • 매출원가 = 836,000원 - 52,681.5원 + 50,000원 = 약 883,318.5원

6. 매출액 계산

  • 매출액 = 총매출액 - 매출환입
  • 매출액 = 1,050,000원 - 24,000원 = 1,026,000원

7. 매출총이익 계산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1,026,000원 - 883,318.5원 = 약 142,681.5원

따라서 (주)세무의 매출총이익은 약 142,681.5원입니다.

틀렸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다시 물었다. 

판매가능상품 원가부문 계산에서 비정상파손 10,000원을 차감해야 하고, 판매가 부문에서 순인하는 더하고 비정상파손 15,000원을 차감하여 계산해야 하는것 같은데 어때?

 

네, 맞습니다. 판매가능상품 원가 및 판매가 계산 시 비정상파손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

1. 판매가능재고 계산 (수정)

  • 원가:
    • 기초재고: 80,000원
    • 총매입액: 806,000원
    • 매입할인: -50,000원
    • 비정상파손: -10,000원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80,000 + 806,000 - 50,000 - 10,000 = 826,000원
  • 판매가:
    • 기초재고: 100,000원
    • 총매입액: 1,000,000원
    • 순인상액: 95,000원
    • 순인하액: +50,000원
    • 정상파손: -50,000원
    • 비정상파손: -15,000원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100,000 + 1,000,000 + 95,000 + 50,000 - 50,000 - 15,000 = 1,180,000원

2. 원가율 계산 (수정)

  • 원가율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 원가율 = 826,000원 / 1,180,000원 = 약 0.7000 (70%)

3. 기말재고 판매가 계산 (동일)

  • 총매출액: 1,050,000원
  • 매출환입: -24,000원
  • 기말재고 판매가 = 판매가능재고 판매가 합계 - (총매출액 - 매출환입)
  • 기말재고 판매가 = 1,180,000원 - (1,050,000원 - 24,000원) = 154,000원

4. 기말재고 원가 계산 (수정)

  • 기말재고 원가 = 기말재고 판매가 × 원가율
  • 기말재고 원가 = 154,000원 × 0.7000 = 107,800원

5. 매출원가 계산 (수정)

  • 매출원가 = 판매가능재고 원가 합계 - 기말재고 원가 + 정상파손
  • 매출원가 = 826,000원 - 107,800원 + 50,000원 = 768,200원

6. 매출액 계산 (동일)

  • 매출액 = 총매출액 - 매출환입
  • 매출액 = 1,050,000원 - 24,000원 = 1,026,000원

7. 매출총이익 계산 (수정)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1,026,000원 - 768,200원 = 257,800원

따라서 (주)세무의 매출총이익은 257,800원입니다.

 

또 틀렸다. 

어느 부분이 잘못된 것인지 정확하게 짚어서 다시 물어야 하는데 내가 모르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