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폐기물 처리장 신축 및 복구 관련 회계처리

상황 설정
- A 회사는 폐기물 처리장을 신축하여 10년간 운영할 계획입니다.
- 폐기물 처리장 신축 비용은 50억 원입니다.
- 10년 후 폐기물 처리장 부지 복구 비용은 1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 A 회사의 할인율은 연 5%입니다.
1. 복구충당부채 최초 인식
- 10년 후 복구 비용 10억 원의 현재 가치를 계산합니다.
- 현재 가치 = 10억 원 / (1 + 0.05)^10 = 약 6억 1,391만 원
- 복구충당부채 6억 1,391만 원을 부채로 인식하고, 폐기물 처리장 자산의 원가에 가산합니다.
- 폐기물 처리장 자산 원가 = 50억 원 + 6억 1,391만 원 = 56억 1,391만 원
2. 회계 처리 (1년 차)
- 폐기물 처리장 감가상각:
- 감가상각비 = 56억 1,391만 원 / 10년 = 5억 6,139만 원
- 복구충당부채 이자 비용:
- 이자 비용 = 6억 1,391만 원 × 5% = 3,069만 원
- 분개:
- (차변) 감가상각비 5억 6,139만 원 (대변) 감가상각누계액 5억 6,139만 원
- (차변) 이자 비용 3,069만 원 (대변) 복구충당부채 3,069만 원
3. 포괄손익계산서 영향
- 당기순이익:
- 감가상각비 5억 6,139만 원과 이자 비용 3,069만 원은 비용으로 인식되어 당기순이익을 감소시킵니다.
- 이자 비용:
- 복구충당부채에 대한 이자 비용 3,069만 원이 발생합니다.
- 감가상각비:
- 폐기물 처리장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 5억 6,139만 원이 발생합니다.
4. 회계 처리 (10년 차)
- 10년 동안 복구충당부채는 이자 비용만큼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약 10억 원이 됩니다.
- 실제 복구 비용이 10억 원이라면, 복구충당부채 잔액과 일치하므로 별도의 손익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만약 실제 복구 비용이 11억 원이라면, 1억 원의 손실을 당기손익으로 처리합니다.
추가 설명
- 복구충당부채는 매년 재평가하여 변동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할인율이 변경되거나 복구 비용 추정치가 변경되는 경우 부채 금액을 조정해야 합니다.
- 실제 복구 비용이 추정치와 차이가 나는 경우, 그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처리됩니다.
- 복구충당부채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추정하고 회계 처리해야 합니다.
<세무사 2018년 기출문제>
세무라는 회사는 20x1년1월1일 복구조건이 있는 연구용설비를 취득원가 440,000원, 잔존가치 5,130원, 내용연수 3년, 복구비용 추정금액 100,000원으로 취득하여 원가모형을 적용하고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였다. 내용연수 종료시점에 실제 복구비용은 120,000원이 지출되었으며, 잔존설비는 3,830원에 처분하였다. 20x3년도에 이 설비와 관련하여 인식할 총비용은 얼마인가? 이때 현재가치에 적용할 할인율은 10%이며, 기간 3년(10%) 단일금액 1원의 현재가치는 0.7513으로 계산하고 단수차이로 인한 오차는 근사치를 선택한다.
구글AI에 위 문제를 물었다.
풀이과정을 아래와 같이 근사하게 알려준다.
회계, 세무가 인공지능으로 사라질 미래직업이라던데 그럴듯 하다.
<풀이과정>
연구용 설비 취득 및 복구충당부채 분개
(차변) (대변)
연구용 설비 515,130원 | 현금 40,000원 |
복구충당부채 75,130원 |
- 연구용 설비: 취득원가 440,000원과 복구충당부채 현재가치 75,130원을 합한 금액입니다.
- 현금: 실제 지출된 연구용 설비 취득 금액입니다.
- 복구충당부채: 미래 복구 비용의 현재 가치입니다.
1. 복구충당부채 계산
- 복구비용 추정금액: 100,000원
- 할인율: 10%
- 기간: 3년
- 현재가치: 100,000원 × 0.7513 = 75,130원
2. 연구용 설비 취득원가 조정
- 취득원가: 440,000원
- 복구충당부채 현재가치: 75,130원
- 조정된 취득원가: 515,130원
3. 감가상각비 계산
- 조정된 취득원가: 515,130원
- 잔존가치: 5,130원
- 내용연수: 3년
- 연간 감가상각비: (515,130원 - 5,130원) / 3년 = 170,000원
4. 복구충당부채 이자 비용 계산
- 20x1년 초: 75,130원 × 10% = 7,513원
- 20x1년 말: (75,130원 + 7,513원) × 10% = 8,264원
- 20x2년 말: (75,130원 + 7,513원 + 8,264원) × 10% = 9,090원 (단수 차이 발생)
5. 20x3년 장부금액 계산
- 취득원가: 515,130원
- 감가상각비 누계액: 170,000원 * 3년 = 510,000원
- 장부금액: 515,130원 - 510,000원 = 5,130원
6. 유형자산 처분손실 계산
- 장부금액(잔존가치): 5,130원
- 처분가액: 3,830원
- 처분손실: 5,130원 - 3,830원 = 1,300원
7. 복구충당부채 실제 지출액과 추정액의 차이 계산
- 실제 복구비용: 120,000원
- 복구충당부채: 100,000원
- 복구비용 차이: 20,000원
8. 20x3년도 총 비용 계산
- 감가상각비: 170,000원
- 유형자산 처분손실: 1,300원
- 복구비용 차이: 20,000원
- 이자 비용: 9,090원
- 총 비용: 200,390원
따라서 20x3년도에 이 설비와 관련하여 인식할 총 비용은 200,390원입니다.
728x90
반응형
'세무사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매재고조사법(매출가격환원법) (0) | 2025.02.28 |
---|---|
매출총이익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추정 (1) | 2025.02.27 |
Issue 2. 원가흐름의 가정 _ 감모와 평가 (0) | 2025.02.13 |
Issue 2. 원가흐름의 가정 _ 단위원가결정방법 (0) | 2025.02.12 |
재무회계에서 다루는 주요 이슈들 (목차) (3)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