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자산
- 기말재고에 가산해야 할 사항
- 원가흐름의 가정
→ 단위원가 결정방법
→ 단위원가 결정방법에 따른 재무제표 영향
- 재고자산감모손실 및 재고자산평가손실
→ 확정판매계약 (저가법 적용 시 시가)
→ 기말 재고자산의 분석
→ 일반적인 감모와 평가
- 매출가격환원법 (소매재고조사법)
- 매출총이익법
-재고자산 일반론
Issue 2. 원가흐름의 가정
재고자산- 기말재고에 가산해야 할 사항- 원가흐름의 가정→ 단위원가 결정방법→ 단위원가 결정방법에 따른 재무제표 영향- 재고자산감모손실 및 재고자산평가손실→ 확정판매계약 (저가법
walking-alive.tistory.com
1. 확정판매계약 (저가법 적용 시 시가)
보유재고가 150개, 원가는 1,000원, 보유재고의 순실현가능가치(=시가)는 950원
확정판매계약 수량이 100개, 계약가격은 1,100원
이때.. 평가손실이 발생한다.
저가법을 적용하면 1) 확정판매계약 100개의 시가는 계약가격 1,100원
2) 나머지 재고 50개의 시가는 순실현가능가치 950원이다.
그러므로 평가손실 =50개x 50원(원가와 실현가치 차액) = 2,500원
감모손실은 실지재고 조사에 따른 재고수량의 감량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감모와 평가의 손실을 적용하기 위해 기말재고의 분석이 필요하다.
2. 기말 재고자산의 분석
기말 장부재고 = 장부수량 x 장부단가
기말 실지재고 = 실지수량 x 장부단가
저 가 = 실지수량 x 저가 (→ min[장부단가, 시가] )
예를 들어,
1. 장부 상 기말재고 25
2. 실지재고 20
3. 저가재고 13
* 기말 B/S 20
(7)
이때
1. 장부상 재고와 실지재고의 차이 5 는 감모손실 (감모중 원가성이 있는 정상감모가 2, 원가성이 없는 비정상감모가 3 으로 구성)
2. 실지재고와 저가재고의 차이 평가손실은 7 이다.
'세무사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출총이익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추정 (1) | 2025.02.27 |
---|---|
복구원가 & 복구충당부채 (0) | 2025.02.26 |
Issue 2. 원가흐름의 가정 _ 단위원가결정방법 (0) | 2025.02.12 |
재무회계에서 다루는 주요 이슈들 (목차) (3) | 2025.02.12 |
Issue 1. 기말재고에 가산하여야 할 사항 _ 재고자산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