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부동산이란?
1.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 또는 두가지 모두를 얻기 위하야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2. 소유 건물 일부를 타인에게 임대한 경우
- 건물을 층별로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매각할 수 있다면 자가사용 부분은 유형자산
임대목적 부분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
- 건물의 분리 매각이 어렵다면 자가사용 부분이 경미한 경우에만 전체 건물을 투자부동산으로 분류
3. 투자부동산은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을 통해서 다른 자산과 거의 독립적으로 현금흐름을 창출
- 유형자산과 구분하여 분류하면 정보이용자의 미래현금흐름 예측에 도움
투자부동산의 인식기준
- 투자부동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다.
- 투자부동산의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
투자부동산의 취득원가 및 후속원가
-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
- 원가에 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최초 발생한 원가와 후속적으로 발생한 추가원가 및 대체원가를 포함
-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유지원가는 발생기간의 비용 인식
투자부동산 원가에 포함하지 않는 항목
1) 경영진 의도하는 부동산 운영과 직접 관련이 없는 초기원가
2) 계획된 사용수준에 도달 전 발생하는 부동산 운영손실
3) 건설이나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원재료, 인력 및 기타 자원의 낭비액
원가모형과 공정가치모형
1. 공정가치 모형의 의의
- 투자부동산은 다른 자산과 독립적으로 현금흐름 창출
- 공정가치로 측정 시 미래 현금흐름 순유입 측정에 도움
- 원가모형과 공정가치모형 중 선택하여 적용가능
2. 원가모형 적용 시 회계처리
- 원가모형 유형자산 회계처리와 동일
- 공정가치 변동은 인식하지 않고 감가상각비 인식
- 원가모형을 적용하더라도 공정가치 정보를 주석으로 공시
3. 공정가치모형 적용 시 회계처리
- 보유하는 모든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
- 상각자산에 대해서는 감가상각비를 인식하지 않음
투자부동산의 제거
투자부동산을 제거하는 것은 해당 자산을 회계 장부에서 제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매각: 투자부동산을 제3자에게 판매할 때.
- 폐기: 부동산이 사용 불가능하게 되어 폐기할 때.
- 기타 이유: 투자부동산의 사용 목적이 변경되어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되지 않을 때.
회계처리 방식
1. 처분 손익 계산:
- 투자부동산의 장부 금액과 처분 대가(판매 가격)를 비교하여 손익을 계산합니다.
- 처분 대가가 장부 금액보다 높으면 처분 이익을, 낮으면 처분 손실을 인식합니다.
2. 회계 분개:
- 투자부동산 제거 시의 회계 분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차변) 현금 xxx (처분 대가)
(차변) 투자부동산 처분손실 xxx (처분 손실 발생 시)
(대변) 투자부동산 xxx (장부 금액)
(대변) 투자부동산 처분이익 xxx (처분 이익 발생 시)
- 여기서 '현금' 계정은 증가하고, '투자부동산' 계정은 감소합니다.
처분 손익은 각각 '투자부동산 처분손실' 또는 '투자부동산 처분이익' 계정에 반영됩니다.
3. 재무제표 반영:
- 제거된 투자부동산의 처분 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 당기 손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 처분 손익은 영업 외 수익이나 비용 항목에 포함됩니다.
4. 관련 비용 처리:
- 투자부동산의 매각과 관련된 모든 비용은 처분 손익에서 차감하여 순 손익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중개 수수료와 같은 비용이 해당됩니다.
<예시>
- 처분 손익:
예를 들어, 장부 금액이 100,000원인 투자부동산을 120,000원에 매각한 경우, 20,000원의 처분 이익을 인식.
- 회계 분개:
(차변) 현금 120,000원
(대변) 투자부동산 100,000원
(대변) 투자부동산 처분이익 20,000원
'소소한도전 > 누구나 이해하는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자산 (1) | 2025.03.09 |
---|---|
금융자산 - 지분상품 (1) | 2025.02.09 |
금융자산 -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수취채권 (6) | 2025.01.26 |
회계의 순환과정 (1) | 2025.01.26 |
화폐의 시간가치 (4) | 2025.01.19 |